아기에게는,
이런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요.
- 임신 중 태아가 건강하게 성장하고 나오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정된 애착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또래와 잘 어울리지 못할 수 있습니다
- 집중력 저하, 문제 행동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산기 우울증이 뭔가요?
임신 중 또는 출산 후 4주 내에 발생하는
우울증입니다.
전체 임산부의 약 15% 정도, 출산 후 85%에 달하는 여성들이 경험합니다.
주산기 우울증인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아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
우울한 기분과 함께 즐거움을 느끼기 어려움
기분 변화 외에 다른 증상(잠이 오지 않거나, 과도한 수면, 식욕의 변화, 신체 통증, 기억력 감퇴, 집중력 저하 등)을 동반
치료가 꼭 필요한가요?
아기에게는,
이런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요.
엄마에게는,
이런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요.
원인이 무엇인가요?
생물학적인 원인
급격한 호르몬의 변화
신체적인 변화
신체 변화와 출산 후 후유증 등
환경적 원인
엄마라는 새로운 역할에 대한 적응, 가까운 사람과 불만족스러운 관계 등
심리적 원인
임신 및 육아 정보 부재와 부담감, 유산에 대한 걱정 등
어떤 위험 요인이 있을까요?
인구학적 요인
산과력
과거력과 가족력
정신사회적 요인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가족과 역할 분담
산후우울의 예방 및 보호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가족과 배우자입니다. 가족과 함께 양육에 대한 부담, 역할을 나눠보세요!
전문가와 치료
일상생화 유지와 양육의 어려움이 있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어려움이 무엇인지 알고 그에 맞는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자기 돌보기
적당한 활동, 규칙적인 식사, 다른 사람과의 만남 등 나만의 자기 돌봄 활동을 찾아보세요!
지역사회 자원 이용
각 지역 보건소에서 임산부 건강관리 및 산모·신생아를 지원합니다. 중앙 및 권역 난임·우울증 상담센터 등 다양한 기관을 활용해보세요.
주변에서 도울 수 있는 것이 있을까요?
부부 사이에서는,
가족과 친구들이라면,
우리 모두,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참고하세요.
24시간 전화 상담
스스로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라면
즉시 도움을 요청하세요
- 자살예방상담전화 : 1393
- 정신건강상담전화 : 1577-0199
- 한국생명의전화 : 1588-9191
응급 상황 시 필수 정보
즉시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119에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을 방문하세요
임산부 대상 상담 서비스
주산기 우울을 겪는 여성들을 위한
전문 상담 서비스를 활용하세요
중앙난임우울증상담센터
월-금 9:00-17:00(주말·공휴일 제외)
지역별 기관 안내
주치의와 상담 및 치료 연계
주치의와의 상담을 통해
체계적인 지원을 받아보세요.
주치의 상담
산부인과 주치의와 상담을
통해 증상 공유 및 치료 방향 논의
치료 연계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요청,
관련 정보 요청